본문 바로가기

FQ 높이기/돈 되는 공부

안전자산 공부 - 금 투자

금 투자에 대해 공부하기

경기 침체되면 시장 투자자들의 자산은 위험자산에서 부동산, 채권, 금과 같은 안전자산으로 이동한다.


근래 들어 금값은 온스당 1500달러를 돌파했고,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로 인한 경제위기 이후로 주목할 만한 상승이다.

2008년 경제위기 때를 보면 금값이 엄청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다!



불과 얼마 전만 해도 미국 증시는 신고가를 기록하는 등의 모습을 보였지만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예상보다 덜 비둘기파적이었던 연준과

미중 무역 분쟁의 추가 관세 (13일 9월 1일부터 부여하려던 관세를 12월 15일로 미루며 미중무역분쟁에 대한 우려감은 다소 해소되었지만)가 여전히 해결되지는 않은 점

한국은 한국대로 일본한테 뺨 맞고 있고

달러/위안 환율
포치: 2007년 이후 처음으로 7 달러 돌파


아르헨티나 포퓰리즘 정권의 지지율 확인과 함께 아르헨티나 파산 가능성 상승과 투자자금의 급격한 유출이 일어나고 (하루 새 38% 폭락)
(*포퓰리즘Populism에 대해 자세히 몰라서 찾아보니 정확하고 상세하게는 정의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대중을 위한 체제라는 점에서 한편으로는 이상적으로 들리기도 했는데, 하지만 실제 포퓰리즘 체제가 정권을 차지할 경우 대중의 목소리를 빙자하여 지나치게 이상적인 정책이 추진되거나 민주적 절차를 왜곡할 수도 있다고 한다. 모든 노동자들의 복지를 다 이뤄주거나 그렇게 하겠다는 식으로 가다보면 사회주의와 비슷하기도 한 것 같다. 뭐든지 극단적이면 문제가 생기지.. 이론적으로는 괜찮지만 실제로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그런 개념 같다.)

유럽은 유럽대로 브렉시트, 독일 GDP감소 등으로 경기 약화의 징조를 보여주고 있고

그리고 어제 미국 장단기 국채금리 역전으로 빨간불이 들어왔다.

요즘은 세상이 평화로웠으면 좋겠다고 갑자기 되도않는 평화주의자가 되는 기분이다 ㅠ
전 세계적으로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안전자산으로의 이동이 두드러진다.


이럴 때 어떻게 대응을 해야할까?

세계 경기가 악화된다면 원화 가치의 하락 가능성도 있으니 안전자산에 대한 공부가 필요한데
그 중 그나마 손쉬운 (?) 방법이 금 투자인 것 같다.


금 투자 방법
1) 골드바를 사거나
2)1g 단위로 거래하는 KRX 금 거래소
3) 0.01g단위로 거래하는 골드뱅킹
4) 관련 ETF를 매수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중 금 실물을 소유할 수 있는 건 1번과 2번이고,
1~3번은 거래수수료에다 부가세도 10% 붙어서 들어가기 때문에 이 부분까지 고려해서 얼마만큼 얼마동안의 기간동안 투자를 할 지 잘 생각해야 한다.







반응형